==> 한국기업들은 도둑늄심보 가진 늄들이 회장이나 사장한다 이러니 배당금도 짜고 무배당도 한다
국내 대표 상장사인 코스피200기업들이 일본 닛케이225기업들보다 각종 배당정책에서 크게 뒤처진다는 글로벌
분석 기관의 평가가 나왔다.한국은 배당을 꾸준히 늘리거나,얼마나 어느 정도로 배당할지 예측할수 있는 기업이
많지 않아 외국인투자가들로부터 신뢰를 얻기 힘들다는 것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밸류업성공을 위해서는 한국 기업들의 후진적인 배당 관행부터 손봐야 한다는 분석이다.
9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 정보제공 기관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마켓인텔리전스는
‘한국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보고서를 통해 “여러 측면에서 글로벌 표준에 뒤처진 한국 배당 관행은 밸류업
프로그램이 극복해야 할 장애물”이라고 밝혔다.
S&P 글로벌은 예측 가능성, 일관성, 수익성 등 거의 모든 측면에서 한국 배당 관행이 일본에 뒤처져 있다고
평가했다. 먼저 예측 가능성에서 한국은 배당정책 수립이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실제 코스피200 기업 중 올해
4월기준으로 명확한 배당정책을 가진 기업 비중은 110개사(55%)에 불과하다고 S&P는 꼬집었다.
반면 닛케이225는 170개사(76%)가 정량화된 배당정책을 운영 중이다.
연중 배당 횟수도 일본과 큰 차이가 난다. 2023년 회계연도 기준으로 닛케이225 기업 가운데 88%는 중간배당을
지급하고 있다. 하지만 코스피200에서는 불과 8%만 중간배당을 했다.분기배당(7%)까지 합쳐도 15%에 그쳤다.
코스피200 기업은 단 35개사(18%)만 배당금을 줄이지 않았다. 2014년 이후 세 번 이상 배당금을 줄인 기업은
78개사(39%)에 이를 뿐 아니라 아예 배당이 없던 기업도 22개사(11%)나 된다. 학계에서는 기업이 배당 규모를
줄이면 경영 사정이어렵다는 시그널을 줘 투자자들의 매도 유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